요즘에는 환경을 생각해서 저공해차량, 무공해차량 혜택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요. 온라인으로 1분만에 확인이 가능하니까 한 번 내차는 해당되는지 알아보세요. 오늘은 내차가 저공해차량인지, 무공해차량인지 확인하는 방법부터, 받을 수 있는 각종 할인 혜택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.
저공해차량·무공해차량 개념
저공해차량은 배출가스를 줄인 차량, 무공해차량은 아예 배출가스가 없는 차량을 말해요. 대표적으로 전기차, 수소차가 무공해차량, 하이브리드, 일부 LPG차가 저공해차량에 해당돼요.
내 차가 어디에 속하는지 꼭 확인해보세요!
내차 확인하는 방법
1)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사이트 이용
-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홈페이지(https://emissiongrade.mecar.or.kr) 접속
- 차량번호 입력 후 등급 조회 클릭
- 저공해차량/무공해차량 여부와 등급, 혜택까지 한눈에 확인 가능
공식 사이트에서 1분 만에 내 차 등급 확인이 가능해요!
2) 환경부 저공해차 통합누리집 이용
- 환경부 저공해차 통합누리집(https://www.ev.or.kr) 접속
- 차량정보 조회 메뉴 클릭
- 차량번호·차대번호 입력
- 저공해차/무공해차 여부, 등급, 혜택 정보 확인
차량번호만 알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!
3) 자동차등록증 확인
- 자동차등록증에 ‘저공해자동차’ 표시가 있는지 확인
- 무공해차량은 ‘전기차, 수소차’ 등으로 표기
등록증만 봐도 대략적인 구분이 가능해요!
저공해차량 등급별 비교표
등급 | 차종 예시 | 설명 | 주요 혜택 |
---|---|---|---|
1종(무공해) | 전기차, 수소차 | 배출가스 없음 | 주차·통행료 50~100% 할인 |
2종(저공해) | 하이브리드, 일부 LPG | 배출가스 대폭 저감 | 주차·통행료 50% 할인 |
3종(저공해) |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차량 등 | 배출가스 기준 충족 | 지자체별 일부 혜택 |
등급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다르니 꼭 확인하세요!
할인 혜택 총정리
- 공영주차장 : 최대 80~100% 할인 (지자체별 상이)
- 고속도로 통행료 : 50% 할인 (무공해차량 기준)
- 혼잡통행료 : 전액 면제 (서울 남산1·3호터널 등)
- 자동차세 감면 : 최대 5년간 50% 감면
- 환경개선부담금 면제 : 무공해차량 전액 면제, 저공해차량 일부 감면
주차, 통행료, 세금까지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!
할인받는 방법, 실제로 이렇게 하세요!
1) 주차장 할인받기
- 저공해·무공해차량 스티커를 차량에 부착
- 공영주차장 입구에서 차량 등급 인식 후 자동 할인 적용
- 스티커 미부착 시엔, 주차장 관리실에 등록증 보여주면 수동 할인 가능
스티커만 붙이면 할인받는 게 훨씬 쉬워져요!
2)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받기
- 하이패스 단말기에 차량정보 등록
- 무공해·저공해차량 등록이 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50% 할인 적용
- 등록 안 된 경우엔, 한국도로공사 고객센터에서 등록 요청
하이패스 차량정보만 등록해도 자동으로 할인돼요!
3) 혼잡통행료·세금 감면받기
- 서울 남산터널 등 혼잡통행료 : 무공해차량 자동 면제, 저공해차량 일부 감면
- 자동차세·환경개선부담금 : 자동차 등록 시 자동 감면, 추가 신청 필요시 관할 구청 문의
세금 감면은 등록만 잘해도 자동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요!
스티커 발급하기
- 관할 구청 자동차관리과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
- 차량등록증 지참
- 저공해·무공해차량 확인 후 스티커 발급
- 차량 앞유리 우측 하단에 부착
스티커 발급은 무료, 부착만 하면 혜택이 쏟아져요!
할인 경험담
저도 하이브리드차로 바꾼 뒤에 주차장 할인이랑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을 제대로 누리고 있어요. 특히 서울 시내 공영주차장에서 80% 할인받으니, 한 달에 3만원 넘게 아끼더라구요. 스티커만 붙였을 뿐인데, 혜택이 이렇게 크다니 정말 놀랐어요!